탈장은 말 그대로 장이 빠져 나온다는 뜻으로 복강내의 장기가 복벽의 틈을 통하여 빠져 나오는 질환을 말합니다. 신체 어느 곳이든 발생이 가능하며, 가장 흔한 부위는 서혜부이며 이를 서혜부탈장 이라고 부릅니다. 대부분의 소아탈장이 이에 속하게 되며 성인에게도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위 입니다. 일단 탈장이 생기고 나면 수술적 치료가 아니면 완치될 수 없으며, 방치할 경우 빠져나온 장이 괴사에 빠지는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진단되는 즉시 외과 전문의에게 수술을 받으시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서혜부 탈장
서혜부 탈장은 넓적다리와 아래배가 만나는 부위에서 2~3cm 위쪽에서 생기는 탈장입니다. 서혜부 탈장에서 탈장낭은 종종 고환까지 내려가기도 하며 서혜부 탈장은 전체 탈장의 75%를 차지하게 됩니다.
대퇴부 탈장
대퇴부 탈장은 서혜부 탈장의 약간 아래쪽, 즉 넓적다리와 아래배가 만나는 선의 바로 아래에서 발생합니다. 서혜부 탈장에 비해 감돈의 위험이 높은 대퇴부 탈장은 여성에서 잘 생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제대탈장
배꼽부위의 약해진 곳을 통하여 발생하는 탈장을 제대 탈장이라고 하며 대게 신생아에서 선척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대개 생후 2살이 되기 전에 저절로 없어지기 때문에 2살까지 기다려 보기나 그 이후에도 없어지지 않고 계속 남아 있거나, 직경이 2cm 이상 되는 제대 탈장은 수술을 해주어야 합니다.
반흔 탈장
반흔 탈장은 수술한 상처 부위가 약해져서 벌어지며 생기는 탈장을 말합니다. 수술 후에도 재발을 잘하는 탈장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수술 시 매우 주의를 해야 합니다.
소아의 경우는 선척적으로 탈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나 성인의 탈장인 경우는 좀 달라서 복벽의 가장 약한 부위인 서혜부가 나이가 들면서 약해져서 탈장낭이 만들어지고 복강내장이 이 부위를 통해서 빠져 나오게 됩니다. 이를 직접탈장이라 부릅니다.
뛰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아이의 경우는 울어서 복압이 증가하게 되면 사타구니 부위에 작게는 손가락 한마디 정도, 심하면 고환부위까지 불룩하게 혹처럼 나오다가 누워 있거나 다리를 들어서 안정을 취하면 복압이 감소하면서 다시 정상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는 복강내의 장이나 부속기관이 복압이 증가하면서 탈장낭을 통해 나왔다가 다시 들어가는 현상입니다. 보통 남자의 80%정도로 훨씬 많고 소아탈장과 성인탈장으로 나뉘게 됩니다. 성인의 경우는 쉽게 본인이 증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소아의 경우는 부모가 아이를 씻기며 주로 발견하게 됩니다.
탈장은 비수술적 방법으로는 절대 완치될 수 없으므로 진단되는 즉시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그냥 방치하는 경우 점점 더 탈장낭이 커져 감돈이나 교액 등의 합병증이 커지는 것 뿐만 아니라 수술 후 재발의 위험도 같이 커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탈장은 반듯이 수술을 받으셔야 하는 질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