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4기에 발견했을 땐 생존률이 20% 미만으로 뚝 떨어지기 때문에 조기에 암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유방검진이 필요합니다.
덩어리 혹은 멍울이 만져지는 경우
유두에서 진물이나 핏빛의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
유두의 함몰, 헐고 반복되는 습진과 같은 유두의 변화
유방 피부가 두꺼워지거나 오렌지 껍질처럼 변화가 있는 경우
최근 양쪽 유방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경우
초기 유방암 단계에서는 대체로 증상이 없습니다!!
유방암이 생긴 위치(깊이)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암이 만져질 정도의 단계가 되면 그렇지 않은 것보다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유방암 초기 단계라고 하더라도 멍울이 만져져도 아프지 않아 방치하거나 병원방문을 미루다 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 유방암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방촬영술에서 치밀 유방이라면 유방촬영술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입니다. 이런 경우 유방초음파를 추가적으로 시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현대 유방암 환자 중 70% 이상이 폐경기 이전에 발생하는 점을 고려했을 때, 20대 여성도 유방암 검진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20세 이후 : 매월 유방 자가검진
35세 이후 : 2년 간격
40세 이상 : 1년 간격
고위험군 : 의사와 상담
가족력이 있는 사람
30세 이후에 처음으로 출산을 한 여성
모유수유를 하지 않은 여성
폐경 후 비만여성
유방암에 관련된 유전자의 변이가 있는 사람(BRCA1, BRCA2)
비만이며, 술과 동물성 지방을 많이 섭취하는 여성
가슴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여성
자궁내막, 난소, 대장에 악성 종양이 있었던 여성
경구피임약을 오래 복용한 여성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틴 복합 호르몬대체요법을 시행 중이거나 장기간 복용한 여성
유방검사에서 양성혹 또는 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혹일 경우에는 6개월~1년 사이에 재검사를 실시합니다.
유방내부 조직의 양상을 보여주는 가장 기초적인 검사. 혹이 만져질 경우 암인지 아닌지 구별하고, 약간의 이상이 나오면 유방초음파를 실시합니다.
X-선촬영(맘모그램) 상 악성유무가 확실하지 않은 경우가 실행합니다.
미세한 주사 바늘로 이상부위에서 세포를 빨아내어 슬라이드에 바른 후 염색을 하여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종양의 일부 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조직을 잘라내어 밖으로 빼 낸 후 조직검사를 할 수 있으며, 종양을 완전 제거 하는 방법입니다.
3mm 정도의 작은 절개로 병소 가까이에 바늘을 두고 바늘 끝 옆면에 나있는 홈으로 조직을 빨아들여 내부의 칼날로 흡인된 조직을 잘라 밖으로 빼내는 방법입니다.
커다란 절개 및 상처 없이 조직검사를 하거나 종양을 제거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실시간으로 초음파를 보면서 외과적 절개 없이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합니다.
종양의 크기에 상관 없이 절제술이 가능하고 종양의 위치가 유두나 피부에 가깝더라도 안전하게 종양제거가 가능합니다.
기존 장비의 단점인 큰 소리와 진동을 개선하여 시술을 받는 환자의 스트레스를 줄였습니다.
정품인증 시스템을 통하여 유방조직검사용 바늘의 일회사용을 원칙으로 합니다.
유방검사에서 양성혹 또는 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혹일 경우에는 6개월~1년 사이에 재검사를 실시합니다.
시술 후 경과를 살핀 후 의사의 판단아래 퇴원하며 상처 치유를 위해 정해진 날짜에 내원하시면 됩니다.
가슴에 감은 붕대는 시술 후 1-2일 후에 풀게 되며 가벼운 샤워가 가능할 수 있게 방수밴드를 붙여드립니다.
술과 담배는 일주일 정도 삼가 해주세요.
샤워는 2일 후에 하시고 사우나는 1주일 뒤에 하세요.
수술 후 1주일 동안은 유방을 문지르거나 비비지 마세요.
붕대를 푼 후 브래지어를 착용하여 유방을 고정 해주세요.
엎드려서 주무시지 마세요.
뛰거나 유방이 흔들리는 활동은 1주일간 삼가 해주세요.
소독 후 붙인 방수 밴드는 3-4일 후에 떼세요.
피부에 멍이 있거나 시술부위에 멍울이 만져질 수 있습니다. 이는 시술 후 생기는 핏덩어리며 수 개월 후 사라지니 걱정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