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하기
비급여수가표 바로가기

역류성식도염

> 내시경센터 > 수면대장내시경

역류성식도염

생활습관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재발이 잦아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역류성식도염

역류성식도염이란?

위산과 위 내용물이 식도를 역류하면서 식도점막을 자극하여 발생하는 염증으로, 일반적인 그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질환을 총칭합니다. 위 점막과 달리 식도 점막은 산성에 약하므로 반복해서 위산에 노출되면서 식도염, 식도궤양, 식도협착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식도와 위 사이에 위산의 역류를 방지하는 하부식도괄약근이라 불리는 구조의 기능이 떨어져 생기는 질환입니다. 밸브 역할을 하는 하부식도괄약근이 열리지 않거나 제대로 닫히지 않으면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되돌아 오게 되며 산의 역류가 빈번하거나 계속되면서 만성 염증이나 식도의 조직이 손상됩니다.

역류성식도염 증상

역류성식도염 진단

진단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전형적 증상을 보인 경우 문진이나 간단한 진단으로 확진이 가능합니다. 식도내압검사, 24시간 식도산성도 검사법 등으로 진단하게 됩니다.
증상의 정도에 따라 위내시경을 통해 다른 질병이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조직 검사도 병행될 수 있습니다.

# 초기에는 약물적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으로 치료가 가능하며, 심한 경우 외과적 수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역류성식도염 치료

약물적 치료는 위산분비 억제제, 제산제, 개선제 등의 약물을 복용하게 됩니다. 대부분 약물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으로 증상의 완화가 가능합니다. 식도 염증은 2개월 이내에 치유가 가능하지만, 재발률도 75% 이상으로 매우 높기 때문에 장기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약물치료가 잘 듣지 않는 경우, 장기적인 약물 복용이 힘든 경우, 역류질환으로 인한 이차적인 합병증이 동반되거나 식도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권장됩니다.

# 외과적 수술 방법, 항역류 수술

식도와 위의 경계 부위에 위치한 위 조직을 다시 감싸 늘어진 식도 괄약근을 다시 조여 주는 방식의 수술입니다. 약물치료와 달리 느슨해진 하부 식도주변을 직접적으로 조여주어 역류 자체를 방지하게 됩니다. 역류성식도염의 근본적인 표준치료가 가능합니다. 약물치료로 효과가 없거나, 재발률이 매우 높아 만성적으로 위식도역류성 질환으로 고통이 심해진 경우 환자들은 수술 등을 고려하게 됩니다. 약물을 장기간 복용하게 되면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으며, 재발이 쉽게 되는 질환으로 약을 평생 먹어야 하는 경우 전문의와 상의해 수술적 방식을 고려해 보는 것이 현명할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 교정 Tip

역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생활습관 및 식이습관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1

음주와 흡연, 카페인 함유가 높은 식품은 피해야 합니다.

2

잠자기 3시간 이전에는 아무 것도 먹지 않는 것이 좋으며, 식사 후 바로 눕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

수면 시 상체와 머리를 약 15cm이상 올립니다.

4

탄산음료나 신 과일주스, 박하, 고지방 고열량 음식은 피해야 합니다.

5

음식은 천천히 먹고, 규칙적인 식습관이 중요합니다.

6

복압 상승을 유발하는 너무 꽉 끼는 옷을 입지 마시고, 특히 허리부분이 조이는 옷은 피해야 합니다.

7

과체중이나 복부비만인 경우 체중을 감량해야 하며 적정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의료진소개

서울대출신 유항맥외과 의료진을 소개합니다.

오시는길

유항맥서울외과 오시는길 안내